본문 바로가기
  • home
  • K-Global
  • K-Global 우수사례

K-Global 우수사례

K-Global 우수사례 상세 안내 표로 업체명 정보 제공
(주)노타
(주)노타 작성일 2022-06-15
조회수 519
(주)노타
AI 최적화 플랫폼 ‘넷츠프레소(NetsPresso)’ 서비스 기업
㈜노타의 채명수 대표님을 만났습니다.

채명수 대표님, 안녕하세요,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노타의 치어리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채명수입니다.

기업 ㈜노타 및 대표 서비스 소개 부탁드립니다.
노타는 AI 최적화 기술을 통해 다양한 일상과 산업군에서 AI 보편화를 추구하는 기술 스타트업입니다.
노타가 개발한 하드웨어를 이해하는 AI 최적화 플랫폼인 넷츠프레소(NetsPresso)는 AI를 전공하거나 다년간 관련 업무를 수행해온 전문가들에게도 까다로운 AI 최적화 작업에 도움을 주며 시간적, 자원적 소요를 효율화합니다. 현재 노타는 AI 기술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산업군의 고객사와 파트너사에게 넷츠프레소나 넷츠프레소의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들의 비즈니스 가속화와 경쟁력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노타는 넷츠프레소를 기반으로 다양한 솔루션 사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스마트시티 및 자율주행 기술 도입을 위해 필요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과 모빌리티 분야 솔루션**이 대표적입니다. 넷츠프레소를 기반으로 개발된 만큼 타겟하는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AI 기반 솔루션이기 때문에 구동되는 하드웨어 사양과 가격, 솔루션의 정확도와 안정성 측면에서 국내외 시장의 기존 솔루션들을 압도하고 있습니다.
* AI Traffic Camera Solution, AI Traffic Signal Control Solution, AI Safe Crossing Solution
** In-cabin Monitoring Solution, Driver Monitoring Solution

㈜노타는 카이스트 학생 창업으로 출발하셨다고 들었습니다. 창업을 결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대표님의 창업 히스토리가 궁금합니다. 
딥러닝 분야를 공부하던 카이스트 학생 창업자들이 모여 딥러닝 기반으로 오타를 줄여주는 개인화된 소프트키보드 앱을 개발하였고 카이스트 경진대회에서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계기를 통해 연구나 아이디어 단계가 아닌 실 일상 생활의 다양한 영역에 딥러닝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고 사업화 하는 것에 대해서 고민을 하게 되었고, 투자유치로 이어져서 창업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서비스로 오타를 줄여주는 소프트키보드 모바일 앱을 상용화하였으나 수익모델 부분에 한계가 있어 다른 사업 아이템으로 전환을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소프트키보드앱 개발 시 서버나 클라우드 환경은 사생활 침해, 속도 등의 이슈가 있어서 모바일앱에서 운영 가능한 경량화된 AI 모델을 개발하는데 주력했었는데, 이 기술이 AI 시장에서 수요가 커졌고 향후에도 필수적인 핵심 기술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 On-device AI 솔루션 사업으로 전환하게 되었습니다.  
저희의 기술과 비전에 공감해 주신 투자사와의 투자 유치를 통해 본격적으로 AI 모델 경량화 기술을 기반으로하는 B2B용 AI 솔루션 개발 및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고, 자동화된 AI 모델 최적화/경량화 모듈을 개발 함과 동시에 시장 및 고객의 요구 사항을 반영한 하드웨어 최적화된 AI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네츠프레소 플랫폼으로 확장하게 되었습니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생활의 불편함을 해소하는데에 적용되는 서비스를 개발하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딥러닝 모델 경량화 기술이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 사례가 궁금합니다. 
딥러닝 모델 경량화 기술은 다양한 산업 영역 및 일상 생활에 적용됩니다. 창업 아이템으로 시작했던 오타를 줄여주는 소프트키보드가 그 중 하나입니다. 사생활 침해, 온라인 연결이 어려운 환경 등에서도 AI 솔루션이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홈loT 기기(도어폰, 홈카메라 등)나 자동차(블랙박스 등)내 기기에 출입통제 혹은 신원확인을 위한 안면인식 솔루션과 운전자의 졸음, 전방주시 태만 등을 감지하여안전 운전에 도움을 주는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솔루션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외에도 스마트시티나 C-ITS와 같은 프로젝트에서도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수많은 CCTV 영상 데이터를 중앙 관제 센터의 서버로 전송한 뒤에 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면, 이제는 경량화/최적화 AI 솔루션을 통해 CCTV가 설치된 장소에서 바로 분석 작업을 수행하고 분석 결과 데이터만 중앙관제 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사례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Intel, 엔비디아, Axis, AWS, ARM, SK 텔레콤, 삼성 SDS, LG CNS 등 다수의 기업과 협업도 진행하셨습니다. ㈜노타의 핵심 동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노타는 삼성그룹과 LG그룹, 네이버, 카카오라는 업계를 선도하는 주요 대기업들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하였고 엔비디아, Arm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 받고 있습니다.
AI 모델 경량화 원천 기술에 대해서 투자사와 파트너사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런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파트너사인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 고객사의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AI 모델 성능 및 실증 성과를 증명해 낸 부분이 노타의 중요한 동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장 중요한 내부 동력 요소는 노타 내부 구성원들의 뛰어난 역량과 노타의 사내 문화라고 생각됩니다. 이런 조직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R&D, 공격적인 투자와 더불어 서비스 개발을 가속화하여 노타의 서비스와 솔루션이 사업적인 성과로도 연결되고 있어서 다수의 국내외 기업과 협업이 가속화 및 확대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21년도 Korea AI startup 100, 엔비디아 Metropolis 파트너 선정되셨지요. 축하드립니다. 단기간에 뛰어난 스타트업으로 성장해온 ㈜노타의 사내문화도 궁금합니다. 
노타크루라면 누구나 소속팀과 무관하게 함께 공유해야 하는 중요한 가치와 원칙이 있습니다. 우리 회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핵심 가치(Core Values) 네 가지와 이 핵심 가치들을 토대로 만들어진 리더십 원칙(Leadership Principles) 여덟 가지 입니다. 이것들은 모두 직책이나 팀에 관계없이 반드시 지키고자 부단히 노력하고 모든 의사결정에 중요한 잣대로 작용하는 부분입니다.
또, 노타에서는 자율적인 분위기에서 뛰어난 역량을 마음껏 발휘하는 70여 명의 열정적인 노타크루가 함께하고 있습니다. 그 중, 약 70%는 R&D에, 30%는 사업과 전략, 마케팅, 운영을 위한 업무를 수행하고 계십니다. 
노타는 채용 과정에서 현 노타크루와의 fit과 조직 적합성을 직무 역량과 더불어 중요하게 바라봅니다. 구직자에게 가장 중요한 복지 중 하나는 유능하고 협업 역량이 좋은 동료라는 말이 있듯이, 노타 내부에서도 원활한 협력과 소통을 기반으로 사람에게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노타가 지금까지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이자 앞으로도 국내를 포함한 글로벌 경쟁력을 일궈나갈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무기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2년 전부터 시작된 판데믹 이후 원격 업무가 늘었는데요, 긴 시간 동안 무탈하게 함께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었던 것도 결국 동료를 중요시하고 신뢰한 임직원들 덕분이라고 자부합니다.

현재 유럽(베를린)과 북미(캘리포니아)에 진출하셨지요. 해외 시장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데, 그 경위와 다음 해외 진출 계획도 궁금합니다. 
AI 모델 경량화/최적화 기술 기반으로 사업을 진행 하다보니 고객사 디바이스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반도체 기업과의 협업 및 파트너십을 필수적인 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On-device AI 솔루션 사업 초기부터 해외 진출을 목표로 설정하였고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해외 전시회 참가 및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참가하여, 해외 기업 및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는데 주력했습니다. 이를 위해서 유럽과 북미에 법인과 지사를 설립하게 되었고, 해외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서 유럽과 북미 시장을 본격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창업하신 이후로 현재 규모까지 기업을 일구어오시면서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이었는지요?
아무래도 가장 큰 어려움이 있었던 시기는 소프트키보드앱 사업에서 On-device AI 솔루션 사업으로 전환하던 시기로 생각됩니다. 사업이 잘 진행되지 않는 상황에서 기존 내부 구성원들의 이탈과 아직 시도해 보지 않은 사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공존하던 시기여서 회사 자체가 여려웠습니다. 
특히 현재도 개발 인력을 구하는게 어려운 환경이지만 피벗 당시에는 사무실이 대전에 소재하다 보니 새롭게 시작하는 On-device AI 솔루션 사업을 위한 개발 인력 및 운영 인력 등의 인력 채용이 몇 배는 더 어려웠던 같습니다.

㈜노타의 앞으로의 방향성과 목표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노타는 하드웨어 기반 AI 최적화 플랫폼인 네츠프레소와 이를 기반으로 개발하고 있는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런칭 및 사업적인 성과로 이루어 내는 것을 1차 목표로 잡고 있습니다. 네츠프레소와 AI 솔루션이 서로 시너지 낼 수 구조를 만들어 노타가 AI Optimization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가 되어 AI 시장에서 노타의 서비스와 솔루션이 필수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만들 예정입니다. 

K-Global 프로젝트 와는 ‘15년 K-Global Startup(SW분야) 지원 사업을 시작으로 ’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 사업 등 꾸준히 K-Global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계시는데요, 관련 성과 등 지원사업이 도움이 되셨는지 궁금합니다. 정부 지원사업에 바라는 점이 있으시다면 함께 말씀 부탁드립니다.
네,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 진출을 시도하는 SW 기업에는 많은 기회가 창출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알찬 인터뷰에 감사드립니다. 끝으로 K-Global 기업들 및 예비 창업자분들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스타트업을 운영 해오면서 ‘기업에 필요한 모든 것을 다 잘 할 수는 없다.’는 것을 많이 느낍니다. 사업/기술 파트너사와 협업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다소 부족해 보이더라도 서로 협력해서 시장을 개척해 가는 구조로 나아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편리한 세상을 만드는 노타의 독보적인 성장을 격렬히 응원합니다!